본문 바로가기
우주이야기

만약 달이 없다면

by 스르르륵 2024. 7. 28.
반응형
태양과 달의 크기는 비슷해 보이는데

 

달은 지구의 유일한 위성이면서 밤을 환하게 밝혀주는 이웃입니다. 

지구와 달과의 거리는 평균 38만 4400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태양과의 지구의 거리에 비교하면 약 400분의 1 정도입니다. 달의 지름은 3,476km지만 태양과 달의 크기는 비슷하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이 달보다 지구에서 약 400배나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달의 크기는 태양계의 위성 중에 다섯 번째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와 달의 차이점

 

달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암석으로 되어 있지만 지구와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구는 대기권이 존재하여 공기의 순환이 일어나며 바다와 지표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반면 달은 대기가 없습니다. 달의 내부는 화강암과 비슷한 성분의 암석으로 되어 있고 지각층 아래에는 맨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표면온도의 변화가 심한데 낮에는 최대 105℃ 까지 올라가고 밤에는 영하 155℃까지 내려갑니다. 달에는 생명체가 살아가기는 힘든 환경입니다. 

 

달에 물이 있을까?

 

달에 공기와 물이 없을 것이란 추측을 깨고 놀랍게도 물이 발견이 되었습니다. 이는 나사가 분화구에서 약 160리터의 물을 발견하면서 확인이 되었으며 정제하면 식수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나사는 달에 위성충돌 시험을 진행하였고 날아오르는 파편인 모래와 바위등을 분석하여 물의 존재를 더욱 명확히 증명하였습니다. 앞으로 달에 인류가 정착할 경우 이 물을 채취해 식수로도 사용하거나 분해하여 로켓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달이 없다면?

 

만약 달이 없다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달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중력을 가지고 있어 서로 당기고 있으나 달 자체의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과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년 약 3.8cm씩 멀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달의 중력과 원심력으로 지구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또 다른 영향은 바로 밀물과 썰물입니다.

달의 중력으로 지구의 바닷물은 달 쪽으로 쏠려 불룩하게 많들어지는데 불룩하게 나오는 부분이 밀물이 되고 옆쪽의 들어가는 부분은 썰물이 됩니다. 밀물이 되면서 바닷물이 불룩하게 나오게 되면 반대쪽도 상대적으로 불룩해져서 밀물은 지구의 양쪽에서 발생이 되기 때문에 자전은 하루 한번 돌지만 밀물과 썰물은 두 번씩 일어나게 됩니다.

달에 의한 밀물과 썰물이 없다면 조력 발전이나 갯벌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지구는 23.5도 기울어져 일정한 자전을 하고 있는 것도 달의 중력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화성의 예를 들면 지구와 비슷한 기울기를 갖고 있지만 붙잡아 주는 위성의 힘이 약하여 자전축이 11도에서 49도까지 움직이고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축이 1도만 움직이게 되더라도 폭염과 혹한 등으로 인한 기후 변화로 인하여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매우 힘든 환경이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달이 없다면 1년을 12달로 나누는 기준이 바뀌었을 수도 있습니다. 달이 아닌 다른 천체를 이용하였다면 더욱 오랜 경험의 축적과 지식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일식과 월식

 

일식과 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으로 배열될 때 발생하게 되는데 태양이 가려지게 되면 일식, 달이 가려지게 되면 월식 현상이 일어납니다.

 

○ 일식 (Solar Eclipse)과 종류

 1. 개기일식 : [태양 - 달 - 지구] 나란히 배열하면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

 2. 부분일식 : [태양 - 달 - 지구] 나란히 배열되지만 달이 태양을 일부분만 가리는 현상

 3. 금환일식 : [태양 - 달 - 지구] 나란히 일치되지만 달이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하고 주변의 가장자리가 반지처럼 남는 현상

 일식은 특정한 지역에서만 관찰할 수 있으며 만약 같은 장소에서 똑같이 일식을 보려면 약 375년후에 볼 수 있습니다.

 

○ 월식 (Lunar Eclipse)과 종류

 1. 개기월식 : [태양 - 지구 - 달] 배열이 되면서 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면서 달이 붉은색으로 보이는 현상이며 '블러드문' 이라고 불립니다.

 2. 부분월식 : [태양 - 지구 - 달] 배열이 되지만 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이 일부만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3. 반영식 : [태양 - 지구 - 달] 배열이 되지만 지구의 반 그림자를 지나 달의 밝기만 약간 어두워지는 현상입니다.

 

 

반응형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성의 작은 동반자들  (0) 2024.07.28
태양계의 신비로운 행성들  (0) 2024.07.22
신비로운 우주 이야기  (2) 2024.07.21